[선택 4·15] '특권 폐지' 외치며 시작했지만…극한 정쟁 오명만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이번 20대 국회는 의원들 스스로도 "최악의 국회"라고 자평할 정도로 파행이 이어졌습니다.<br /><br />특권폐지를 외치며 거창하게 시작했지만 결국 극한 정쟁의 오명만 남긴 20대 국회의 역사를 이준흠 기자가 정리했습니다.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출발은 나쁘지 않았습니다.<br /><br />원만한 대화로 앞선 국회보다 한달 먼저 원구성에 합의했고 의원 특권 폐지에 한목소리를 내며 관련 위원회가 만들어지기도 했습니다.<br /><br /> "세상이 급변하고 있기 때문에 국회가 특권 위에 앉아 있어서는 국민들로부터 사랑을 받을 수 없기 때문에…"<br /><br />하지만 평화는 오래가지 않았습니다.<br /><br />9월 첫 정기국회, 당시 김재수 농림축산식품부 장관 해임 문제가 도화선이 됐습니다.<br /><br />해임 건의안이 본회의를 통과하자 국정감사를 보이콧하며, 사상 처음으로 여당 대표가 단식 투쟁에 나섰습니다.<br /><br /> "여당조차도 무시하는 이런 거야의 횡포 그것도 한두 번도 아니고 지금 두 달 하면서 몇차례나 이렇게 안하무인으로…"<br /><br />이후 박근혜 전 대통령 탄핵과 문재인 대통령 당선으로 여야 공수교대가 이뤄졌지만, 상호 공방과 정쟁은 변함이 없었습니다.<br /><br />김경수 경남지사가 '드루킹 댓글조작 사건'에 연루됐다는 의혹을 받자 또다시 단식 투쟁이 재연되는가 하면, 지난해 선거법 개정안과 검찰개혁 법안 처리 과정에서는 몸싸움마저 난무했습니다.<br /><br />'조국 사태'는 화룡점정이었습니다.<br /><br />지난해 8월 조 전 장관 후보자 지명부터 10월 자진사퇴까지 두 달 동안은 국론 양분으로 국회는 사실상 마비됐습니다.<br /><br /> "어느 정부도 하지 못한 검찰개혁 제도화를 여기까지 끌고 온 것도 조 장관의 노력과 역할이라고 생각합니다."<br /><br /> "얼마나 많은 고통을 국민들에게 드리고 있습니까. 반드시 국민 앞에 사죄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생각합니다."<br /><br />선거법이 통과된 이후 총선을 치르면서도 비례 위성정당이 잇따라 출현하며 꼼수에 맞꼼수로 대응한 여야.<br /><br />20대 국회는 마지막 순간까지도 남 탓만을 이어가고 있습니다.<br /><br />연합뉴스TV 이준흠입니다. (humi@yna.co.kr)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